디지털 사진기를 이용하여 별자취를 촬영하기 위해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적당한 노출을 주어 연속 촬영한 여러 장의 사진을 Lighten 모드로 합성하는 것입니다. Lighten 모드 합성은 포토샵에서도 할 수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 프로그램은 lighten 합성을 자동으로 해줍니다. 설치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아니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해 복사해 넣은 다음 실행 파일만 실행시키면 됩니다. 다음은 Startrails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과정입니다.
두 장의 사진을 lighten 방식으로 합성한다는 것은 두 장의 사진 속의 동일한 위치를 비교하여, 보다 밝은 부분의 상을 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사진에서 가로로 188번째 세로로 1204번째 화소 위치를 비교할 때 사진 1에서 그 화소의 수치가 13이고, 사진 2에서는 36일 경우, 화소 (188, 1204)의 수치는 36이 됩니다. 화소 (1200, 1098)의 수치가 사진 1과 2에 대해 각각 210, 98인 경우에는 화소 (1200, 1098)의 수치로 사진 1의 값인 210이 선택되는 것이구요. 다음은 이것을 도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맨 왼쪽의 사진 1과 가운데의 사진 2를 lighten 합성한 결과가 맨 오른쪽의 사진입니다.
1. 설치법
1)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풉니다. 별도의 설치 과정은 필요 없습니다.
http://www.startrails.de/Startrails.zip
프로그램 제작자 홈페이지: http://www.startrails.de/
2)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면 폴더가 하나 생깁니다. 폴더 속으로 들어가서 Startrails라는 프로그램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 만약 실행 에러가 발생한다면 닷넷프레임웍이 설치되지 않아서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닷넷프레임웍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ko&FamilyID=262d25e3-f589-4842-8157-034d1e7cf3a3
2. 사용법
1) Startrails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File 메뉴에서 Open Images를 클릭합니다.

2) 대화상자가 열리면 자신이 촬영한 별자취 사진이 보관된 곳으로 이동한 뒤 별자취 사진에 포함시킬 모든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3) 파일을 모두 불러오면 왼쪽에 파일의 목록이 보입니다. 이번에는 Build 메뉴의 Startrails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각 사진들이 lighten 옵션으로 포개어지면서 별자취 사진이 만들어집니다.
4) File 메뉴에서 Save Image를 클릭한 뒤, 파일 형식을 jpg나 tiff로 하여 저장하시고, 세부적인 보정은 포토샵 등에서 할 수 있습니다.
푸른행성의 과학, http://www.skyobserv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