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자료 모음집
교육자료를 사용하거나 인용할 때 출처를 성실하게 표기하면 그것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료를 제공하는 사람들의 노력의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게는 지식을 생성하고 전파하는 과정이 얼마나 유용하고 소중한지 깨닫게 해줄 수 있어서 교육적으로도 매우 중요합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금성 출판사 지구과학1 교과서에 참고 자료로 사용된 것은 이 페이지의 맨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 준비를 위한 팁, http://www.skyobserver.net/388106
사진
- 오늘의 지구과학 사진, Earth Science Picture of the Day, The Universities Space Research Association. http://epod.usra.edu/
- 오늘의 천문학 사진,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http://apod.nasa.gov/apod/astropix.html
- 오늘의 날씨 사진, Weather Picture of the Day, WPOD Team. http://weatherpictureoftheday.com/
- 지질학 사진, http://marlimillerphoto.com/geopix.html
- 지구우주과학 사진, 조영우/푸른행성의 과학, http://www.skyobserver.net/pictures
동영상
- 지구우주과학 동영상 모음, http://www.skyobserver.net/380562
- 지구우주과학 동영상, 조영우/푸른행성의 과학, http://www.skyobserver.net/videos
뉴스
- Exploring Earth, 이 주의 Earthweek (PDF)
- NASA의 Earth Observatory, 뉴스룸
- Environment News Network, 환경뉴스네트워크
- Science @NASA, Science@NASA Headline News
- SpaceWeather, 분석 및 예보
과학 일반, 과학철학, 과학사, 지구과학사
- 과학사, 네이버 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list.nhn?cid=148&category_id=148
- 다큐 사이언스, 네이버 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list.nhn?cid=57&category_id=57
- 우주관의 변천
- 티코의 우주관 설명, 조영우, http://www.skyobserver.net/80030
- 티코의 지구중심설 설명 도구 (엑셀), http://www.skyobserver.net/388533
- 태양중심론을 통한 행성의 운동 설명 도구 (엑셀), http://www.skyobserver.net/388525
지구과학 일반
- 지구과학 산책, 네이버 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list.nhn?cid=116&category_id=116
고등학교 과학(융합과학)
- 고등학교 과학 PPT, 이지현 선생님, http://www.skyobserver.net/146490
우주생물학
- Teaching Astrobiology, https://depts.washington.edu/astrobio/drupal/content/teachers
- Daum 미디어 - 외계생명체 탐사, http://media.daum.net/issue/286544?selectedNewsId=20170414030206423
지구의 역사
- 초기 지구의 역사
- 고지리와 고환경
- PLATES Project (판게아의 분열 재현), https://ig.utexas.edu/marine-and-tectonics/plates-project/?PHPSESSID=02a1a8119444b3ffacfc533d9825b3d0#recons. Univ. of Texas의 Institute for Geophysics에서 구축한 PLATES 프로젝트 싸이트입니다. 과거 지질 시대 동안 판운동을 재현한 동영상 등의 자료가 있습니다.
- PALEOMAP Project, http://www.scotese.com/. PALEOMAP 프로젝트를 통해 고지리와 고기후를 복원하고 있는 싸이트
- 지질 시대 - Deep Time, http://deeptime.info/ 지구 전체의 역사에 걸쳐 일어난 사건들을 하루의 시간에 빗대어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싸이트입니다.
- "판게아가 갈라지자 기후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http://cgge.aag.org/GlobalClimateChange1e/cfpart2/cfpart23.html
- 생물의 역사
- Prehistoric World (National Geographic), http://science.nationalgeographic.com/science/prehistoric-world.html
지구 및 행성 과학
- 우주탐사 설계 학습활동
- Exploration Design Challenge, NASA,
http://www.nasa.gov/audience/foreducators/spacelife/explorationdesign/overview/#.Ver3UxHtlBe- Mars Exploration Design Challenge : Grades 7-9+, Concept2Creation,
http://www.concept2creation.com.au/xstd_files/01_C2C_In_Space_Background_Info.pdf- 태양중심론을 통한 행성의 운동 설명 도구 (엑셀), http://www.skyobserver.net/388525
- 티코의 지구중심설 설명 도구 (엑셀), http://www.skyobserver.net/388533
- NASA Education, NASA, http://www.nasa.gov/offices/education/about/index.html
- NASA for Educators, NASA, http://www.nasa.gov/audience/foreducators/index.html
- NASA for Students, NASA, http://www.nasa.gov/audience/forstudents/index.html
- NASA Kids Club, http://www.nasa.gov/audience/forkids/kidsclub/flash/index.html#.VijFg37hAQ8
- 교육자료 검색, NASA, http://www.nasa.gov/education/materials/#.VijF0n7hAQ8
- NASA Education 뉴스, NASA, http://www.nasa.gov/offices/education/about/newsreleases/index.html
- 태양계 천체 데이터
- 태양계 천체의 분류, http://www.skyobserver.net/396730
- NASA Solar System, https://solarsystem.nasa.gov/
- NASA Planets, https://solarsystem.nasa.gov/planets/
- The Planets Today, http://www.theplanetstoday.com/the_planets.html
- Space.com Solar System Planets, http://www.space.com/16080-solar-system-planets.html
- 우주 탐사 임무
- Solar System Exploration, NASA, http://sse.jpl.nasa.gov/, NASA의 태양계 탐사 임무 홈페이지
- 태양계 탐사 임무 요약, NASA, http://solarsystem.nasa.gov/missions/index.cfm, 태양계 탐사 임무 요약
- Mars Exploration Program, NASA, http://mpfwww.jpl.nasa.gov/, 또는 http://mars.jpl.nasa.gov/, NASA의 화성 탐사 프로그램 홈페이지
- Mars Express, ESA, http://sci.esa.int/marsexpress, ESA의 Mars Express 임무 홈페이지'
- Beagle 2, ESA, http://beagle2.open.ac.uk/index.htm, ESA의 Beagle 2 임무 홈페이지
-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NASA, http://marsrovers.jpl.nasa.gov/home/index.html, NASA의 화상 탐사 로버 임무 홈페이지
- Galileo 임무, NASA, http://galileo.jpl.nasa.gov/, NASA의 목성 탐사선 Galileo의 홈페이지
- Solar System Scope, http://www.solarsystemscope.com/
- 반응형 정밀 탐색 지도 (2D와 3D)
- Moon Trek, 달 표면 정밀 지도 (2D와 3D), https://moontrek.jpl.nasa.gov/
- Mars Trek, 화성 표면 정밀 지도 (2D와 3D), http://marstrek.jpl.nasa.gov/
- Vesta Trek, 소행성 베스타의 표면 정밀 지도 (2D와 3D), http://vestatrek.jpl.nasa.gov/
별과 우주
- 천문학습관
- UNL NAAP, 시뮬레이션을 통한 천문 학습, 네브래스카-링컨 대학교, http://www.skyobserver.net/32791
- 반응형 시뮬레이션 학습관. https://highered.mheducation.com/sites/0072482621/student_view0/interactives.html# - 여기에 포함된 모듈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쌍성, 암흑물질, 도플러 편이, 식, 탈출속도, 외계행성, 중력렌즈, 중력 변화, 케플러의 2법칙, 케플러의 3법칙, 달 위상, 중성자별, 궤도 속도, 행성의 변화, 계절, 항성시차, 분광, 흑체복사, 보어원자, 역행운동, 태양계 만들기, 우주론, H-R도.
- Project CLEA, 문자 그대로 하면 현대 천문학 실험 활동(CONTEMPORARY LABORATORY EXPERIENCES IN ASTRONOMY)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디지틀 데이터와 컬러 영상을 활용하여 현대 천문학에서 쓰이는 기법을 설명할 수 있는 실험실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각 CLEA 실습 활동마다 전용 컴퓨터 프로그램과 학생용 설명서, 교사를 위한 안내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public.gettysburg.edu/~marschal/clea/CLEAhome.html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학습관, http://astro.kasi.re.kr/Main/ContentViewForm.aspx?MenuID=1240
- 교수 학습 자료
- 행성의 운동과 관측 PPT, 조영우, http://www.skyobserver.net/22746
- 행성의 운동 플래시, 조영우, http://www.skyobserver.net/11451
- 태양 및 지구 관련 학생 활동, NASA, http://www.skyobserver.net/374709
- 파이프 사진기를 활용한 망원경의 원리 학습 활동, 조영우, http://www.skyobserver.net/377573
- 성도
- 다양한 방향과 위도의 벡터 성도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hoshifuru.jp, http://en.hoshifuru.jp/EveryStarryNight/starchart/ai/sample.html
- 무료 성도, Stephen F. Austin 주립대학교 물리천문학과의 SFA Observatory가 제공하는 무료 성도. http://www.midnightkite.com/
- 항성 자료
- 별의 표면 온도와 광도, http://www.world-builders.org/lessons/less/les1/StarTables_B.html
- 가장 가까운 별들의 목록, http://www.atlasoftheuniverse.com/nearstar.html
- 100개의 가장 가까운 별 목록, http://www.recons.org/TOP100.posted.htm
- 밝은 별과 가까운 별 목록 (엑셀 형식) - 밝은 별과 가까운 별의 목록으로서 H-R도 작성에 유용합니다. http://astrosci.scimuze.com/stellar_data.htm
- David Nash, HYG 항성 데이터베이스 (엑셀 CSV 형식)- Hipparcos, Yale Bright Star, Gliese catalog에 있는 모든 별을 포함함 (약 120,000개의 별들이 담김). http://astronexus.com/node/34
- 항성 데이터베이스 종류 정리한 웹사이트, http://www.projectrho.com/public_html/starmaps/catalogues.php
- 분광 Spectroscopy
-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분광기: Public Lab Smartphone spectrometer, Foldable mini-spectrometer, https://i.publiclab.org/system/images/photos/000/005/495/original/spec-smart.jpeg | Public Lab Store, https://publiclab.myshopify.com/
- 태양
- 태양 흑점과 나비 도표 애니메이션, https://youtu.be/s3FFOc9KwAo
- 우주의 규모
- 100,000 Stars - 우리 은하와 태양 주변 탐색 지도, https://stars.chromeexperiments.com/
- 행성과 별의 크기 비교 (동영상), https://youtu.be/Ov5AHcCQtd8
- 밤하늘, 별자리
- 별자리 여행, 네이버 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list.nhn?cid=139&category_id=139
- 천문 현상
- Sea and Sky's Astronomical Calendar, http://www.seasky.org/astronomy/astronomy-calendar-2017.html
- In-The-Sky.org's Calendar of Astronomical Events, https://in-the-sky.org/newscal.php
- Time and Date's Cosmic Calendar, https://www.timeanddate.com/astronomy/sights-to-see.html
- NASA's SkyCal, https://eclipse.gsfc.nasa.gov/SKYCAL/SKYCAL.html
- CalSky's The Calendar-Sky, https://www.calsky.com/cs.cgi/Calendar
암석과 지층
- 우리나라 지질 안내
- 아름다운 한반도 수업을 위한 링크, http://www.skyobserver.net/380375
- 한반도 자연사, 네이버 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list.nhn?cid=36&category_id=36
- 국가지질공원, http://www.koreageoparks.kr/
울릉도 독도 (독립 페이지) | 한탄임진강 (독립 페이지) | 강원평화 | 청송 (독립 페이지) | 무등산권 | 부산 (독립 페이지) | 제주 (독립 페이지)-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http://www.globalgeopark.org/
- 아시아-태평양 지질공원 네트워크, http://asiapacificgeoparks.org/
- 유럽 지질공원 네트워크, http://www.europeangeoparks.org/
- 지질학 지도
- 물리지질 지도 "Physical Earth", 내셔널지오그래픽, http://maps.nationalgeographic.com/maps/print-collection/physical-earth-map.html
- 지각 역학 지도, "Earth's Dynamic Crust", 내셔널지오그래픽, http://maps.nationalgeographic.com/maps/print-collection/earths-dynamic-crust-map.html
- 교수 학습 자료
- 지질학 수업지도안, Earth Science Week, American Geosciences Institute.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과 이전의 국가 과학교육 표준(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에 따라 범주화되어 있는 수업지도안들이 있습니다. 활동은 학년에 따라서도 구분되어 있습니다. http://www.earthsciweek.org/classroom-activities
- 지구과학 수업지도안 및 활동, Geology.com, http://geology.com/teacher/
- NOVA Online - 지질학 | 지진 | 화산 학생 활동
- USGS 교육 자료 - 지질학, http://education.usgs.gov/secondary.html#geology
- 12학년 수업지도안, Belloit College, https://www.beloit.edu/sepm/publications.html
- 지질학 수업지도안, 영국지질학회, https://www.geolsoc.org.uk/lessonplans
- Geoscience Australia, http://www.ga.gov.au/education/classroom-resources
- Classroom Resources | Australia | Plate Tectonics and Hazards | Minerals | Spatial/Geographic | Energy and Resources | Geologic time & Fossils | Marine & Coastal
- 지질학 활동, TeacherVision, https://www.teachervision.com/geology/teacher-resources/53865.html
- 화산활동
- 용암과 다른 유체의 점성 비교 (케첩에서 Pahoehoe 용암을 음미해보세요.). http://www.gso.uri.edu/lava/Viscosity/viscosity.html
- 용암의 흐름 시뮬레이터. http://www.gso.uri.edu/lava/Lavasimulate/lavasimulate.html
- 스미소니안 지구 화산 활동 프로그램 (Smithsonian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volcano.si.edu/
물의 행성
- 해수의 운동에 관한 실측 데이터와 교사용 지도 자료 및 학생용 학습지 등이 있는 싸이트, Ocean Motion and Surface Currents
- 전 세계 해양의 표층 해류, http://www.skyobserver.net/381001
- 해양학 12학년 교육자료,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e, http://www.whoi.edu/main/k-12
날씨와 기후
- 기상 동영상, http://www.skyobserver.net/388098
- 전 세계 기류 분포 시각화,
http://earth.nullschool.net/#current/wind/surface/level/orthographic=129.00,33.00,700
- 교수 학습 자료
- 대기 관련 학생 활동, NOVA Online, http://www.pbs.org/wgbh/nova/education/resources/subj_03_03.html#eart_5
- 기상학 관련 학생 활동, NOVA Online, http://www.pbs.org/wgbh/nova/education/resources/subj_03_03.html#eart_14
생물권
환경
- 교수 학습 자료
- Climate Kids, NASA, http://climatekids.nasa.gov/
- USGS 교육 자료 - 기후 변화, http://education.usgs.gov/secondary.html#climate
- 기후 변화
- 해수면 상승 지도: 전 세계 및 주요 도시, http://geology.com/sea-level-rise/
- 사라지는 미국의 해변 - Cape Hatteras, http://www.skyobserver.net/389194
- 빙하가 모두 녹는다면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 (동영상), https://m.youtube.com/watch?v=VbiRNT_gWUQ
- 기후 변화 홍보 포털, http://www.gihoo.or.kr/portal/2013_Portal/html/index.jsp
- 지구 기후변화, NASA. http://climate.nasa.gov/
데이터 및 데이터 활용 수업
- The Sourcebook for Teaching Science, https://www.csun.edu/science/ref/spreadsheets/
데이터를 엑셀파일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 K-MOOC 강좌
- 우주의 이해, 손영종 교수 (연세대학교)
- 빅뱅 콘서트: 우주, 생명, 문명, 김성수 교수 (경희대학교)
- 우주와 생명, 김희준 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석좌 교수)
- 창의적 발상: 손에 잡히는 창의성, 박영택 교수 (성균관대학교)
- 미래 교육을 디자인한다, 송해덕 교수 (중앙대학교)
- 과학적 사고와 인간, 이영희 교수 (단국대학교) 외 13인
- 생명의 과학 - 생명, 그 신비에의 도전, 이우성 교수 (성균관대학교)
- 생명의 프린키피아, 김희수 교수 (부산대학교)
- DNA로 살펴본 생명의 진화, 김상욱 교수 (POSTECH)
- 생명과학의 세계, 유주연 교수 (POSTECH), 김준 교수 (KAIST) 외 8인
- 현대인을 위한 물리의 이해, 차동우 교수 (인하대학교)
- 현대물리학과 인간 사고의 변혁, 김찬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 일반상대성이론, 이종필 교수 (고등과학원)
- 생활 속의 화학, 김민경 교수 (한양대학교)
- 화학, 세상의 거의 모든 것, 김성근 교수 (서울대학교), 박준원 교수 (POSTECH)
- 삶은 화학 물질과의 소통이다, 여인형 교수 (동국대학교)
학술
논문이나 학술 정보를 검색 및 열람할 수 있습니다.
- Journal of Earth System Science, http://www.ias.ac.in/jess/
- IEG 환경지질정보연구센터, http://ieg.or.kr/main.php
지구과학1 교과서 참고 자료 (2015 개정 금성출판사)
- 항성 자료
교과서 p. 148 및 관련 지도서 항목; 교과서 pp. 150-151 탐구 - 나만의 H-R도 만들기 및 관련 지도서 항목
- 별의 표면 온도와 광도, http://www.world-builders.org/lessons/less/les1/StarTables_B.html
- 가장 가까운 별들의 목록, http://www.atlasoftheuniverse.com/nearstar.html
- 100개의 가장 가까운 별 목록, http://www.recons.org/TOP100.posted.htm
- 밝은 별과 가까운 별 목록 (엑셀 형식) - 밝은 별과 가까운 별의 목록으로서 H-R도 작성에 유용합니다. http://astrosci.scimuze.com/stellar_data.htm
- David Nash, HYG 항성 데이터베이스 (엑셀 CSV 형식)- Hipparcos, Yale Bright Star, Gliese catalog에 있는 모든 별을 포함함 (약 120,000개의 별들이 담김). http://astronexus.com/node/34
- 나만의 H-R도 만들기 탐구용 엑셀 파일
조영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