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와 육수의 성분에 대한 질문입니다. 육수의 성분에서 가장 많은 것이 탄산이온과 칼슘이온인데 이것이 바다로 유입되면 탄산칼슘으로 침전하여 양이 줄어든다고 하는데 육수에서도 탄산칼슘으로 침천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바다에서만 반응을 하나요? 바다가 반응하기에 더 좋은 조건인가요? 그렇다면 이유는?
답변하기 전에 참고 문헌을 좀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만, 그건 다음으로 미루고 일차적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탄산칼슘이 침전하여 석회암을 형성하는 일은 매우 긴 시간 안정적인 화학적 환경이 제공되어야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백만년~1억년 단위의 시간 척도를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육수는 해수보다 더 큰 위치 포텐셜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 지역에 안정적으로 머무르기 어렵겠죠. 그것은 육수의 경우 탄산칼슘이 침전하여 석회암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안정적인 시간을 제공해주기 어렵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일반기상학 31쪽 [그림2-3]을 보면 오존밀도가 최대로 나타나는 고도가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어요. 그 이유를 대기흐름에 의한 오존 수송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잘 이해가 안돼요..ㅠㅠ; 성층권에서 형성된 오존이 대기흐름을 따라 고위도로 이동하면서 하강해서 최대밀도가 나타나는 고도를 낮게 하는건지.. 이해하기 쉽게 좀 풀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할게요..^^
"연약권의 상반부에는 지진파의 전파 속도가 감소하는 저속도층이 있는데 이는 연약권의 주부를 형성한다." 저속도층에서 지진파의 전파 속도가 감소한다는 것이 속도 값이 그 층에서 계속 작아진다는 의미인가요, 아니면 단지 속도가 암석권이나 전이대, 하부맨틀의 그것보다 작다는 의미인가요? 감소한다는 것이 양이나 수치가 준다는 것인데 교과서나 타 자료에 나오는 지진파 속도 분포 그래프를 보면 그 어디에도 지진파의 속도가 준다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없었어요. 암석권이나 전이대, 하부맨틀에 비해서 얼마나 감소하는지 알고 싶어요.
혹시 달 크레이터 크기 측정 하는 방법 아시나요? 인터넷 보니까 막 그림자 크기 측정해서 크기를 구하던데 잘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제가 망원경이 없는 상태라 조건을 맞춰서 사진을 직접 찍을 수도 없는 상태이구, 사진은 그냥 인터넷에서 구하려고 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 지 너무 막막합니다. 전체 면적크기, 지름, 깊이 등등 구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측정해보고 싶은데 대체 어떻게 해야 크기들을 잴 수 있을까요? 너무 급한 일이라서.... 혹시 방법을 아신다면 꼭 ! 답변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색-등급도에서.. 일반적으로 세로축이 광도(절대등급), 가로축이 색지수(온도) 인 것을 H-R도 라고 하는데.. H-R도에서 별의 진화에따라 계열이 분리되기도 하죠 그러면 색-등급도에서 세로축이 겉보기 등급이면 어떻게 되나요? 마찬가지로 별의 진화에따라 계열분리를 할 수 있나요? 물론 겉보기 등급을 알고 별의 거리를 알면 절대등급을 구할수 는 있지만.. 세로축 자체가 겉보기 등급인데 H-R도와 같이 볼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명쾌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질문내용은 위 그림에서 변환단층 C-D 사이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문제집에서는 '유지된다'로 나오는데 아래 그림(하이탑2-118쪽)대로 하면 C-D사이가 멀어져야 맞을 것 같습니다. 또, 맨틀대류 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V1>V2에서 V1<V2로 변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C-D사이는 좁아질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궁리하다가 자료가 없어 질문해 봅니다.
안녕하세요~선생님..^^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게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1) 단결정질 vs 복결정질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2) 소광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 궁금합니다. 더불어서 소광이 일어나는 이유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할게요. 바쁘실테지만..답변 해주실거라 믿고 기다릴게요~!!☆
태양 흑점은 가시광선에서 검게 보이고.... X선 영상으로 촬영하면 오히려 밝게 보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외선 촬영 시에는 흑점 부근이 검게 보이나요? 밝게 보이나요? 극자외선 촬영(EIT)은 파장별로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영상으로 나오는데... 특히, 자외선 촬영중에서 긴 파장인 빨간색 영상으로 촬영할 때 흑점 부근은 어떻게 보이는 지 궁금합니다. 저는 자외선촬영도 X선 촬영처럼 흑점 부근이 밝게 나올 꺼라 생각했는데요.. 지구과학 1 문제집중 사과향(A+교육) 에서 205쪽 문제 중에서 자외선 사진에는 흑점이 쌀알무늬가 있는 표면보다 어둡게 나오는 것이 맞는 걸로 나왔더군요.. 자외선 촬영시 흑점 부근이 정말로 다...
http://www.skyobserver.net/zbxe/7960 에 있는 그래프를 보니 모두 직선 변화를 나타내던데 어는점 보다 아래 온도일땐 해당 해수는 얼어 버릴 겁니다, 어는점을 통과하는 순간 당연히 밀도가 확 낮아 질텐데 최대 밀도가 된다는 것이 잘 이해 되지 않습니다. 얼음보단 물이 더 밀도가 높다는 것을 생각 하니 해당 그래프가 이해가 되지 않는데, 설명 좀 부탁합니다. 어는점 이후의 그래프는 단순히 계산상에만 존재하고 실제 무의미 한 것이 아닌지요? 해당 글에 나온 바다 전체가 얼지 않는 현상도 그냥 얼음이 물보다 가볍다는 것이 주된 이유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해수와 육수의 성분에 대한 질문입니다. 육수의 성분에서 가장 많은 것이 탄산이온과 칼슘이온인데 이것이 바다로 유입되면 탄산칼슘으로 침전하여 양이 줄어든다고 하는데 육수에서도 탄산칼슘으로 침천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바다에서만 반응을 하나요? 바다가 반응하기에 더 좋은 조건인가요? 그렇다면 이유는?
탄산칼슘이 침전하여 석회암을 형성하는 일은 매우 긴 시간 안정적인 화학적 환경이 제공되어야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백만년~1억년 단위의 시간 척도를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육수는 해수보다 더 큰 위치 포텐셜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 지역에 안정적으로 머무르기 어렵겠죠.
그것은 육수의 경우 탄산칼슘이 침전하여 석회암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안정적인 시간을 제공해주기 어렵다는 의미일 것입니다.